스포츠 외교2019. 12. 7. 12:56

[강원도(남북한)2024년청소년동계올림픽개최우선권확보돌입(2019 125)배경스케치]

 

 

2019125일자로 신축 IOC본부인 Olympic House에서 끝난 IOC집행위원회결과 강원도(평창 및 강릉)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 선호개최지로 확인되고 있는 과정에 돌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폐회식 장면/출처: 평창2018 조직위원회 홈페이지)

 

 

IOC가 올림픽 이벤트 유치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혁신조치의 일환으로 2019 10월 열린 IOC집행위원회에서 결정하여 미래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IOC Future Host Commissions)구성한 바 있다.

 

그 중 동계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IOC Future Winter Host Commission )는 드디어 그 첫 임무로 대한민국의 강원도를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 선호개최지로 지목(identified Gangwon Province as the preferred host of the Games)하였다.

 

미래동계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는 IOC집행위원회보고에서 2020 110 Lausanne개최 IOC총회에서의 잠재적 선출에 앞서(before a potential election) Bach IOC위원장이 최종수순”(last step)이라고 묘사한 목적지향 대화”(targeted dialogue)에 착수할 것을 권고하였다고 보도되었다.

 

Bach IOC위원장은 모든 제반 사항들이 동 선별위원회와 IOC집행위원회의 요구에 충족될 경우(if “all the requirements are fulfill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Commission and the Executive Board”), 2020 110 IOC총회에서 대한민국 평창이 2014년 동계청소년올림픽개최지로 공식 선출될 수 있을 것(Pyeongchang could be formally elected as host of the 2024 Winter Youth Olympics at the Session on January 10)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한다.

 

또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상황여건이 허락할 경우”(if the circumstances allow) 2024년동계청소년올림픽개최조직의 일정 역할이 북한에게도 열려있음(open to North Korea playing a role in the organization)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한은 2032년하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동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최근 들어 남북간의 상호대화가 거의 전면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와중이라서 남북공동유치후보결성 및 성사가능성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chances of their candidacy coming to fruition have diminished amid an almost entire shutdown of inter-Korean dialogue in recent months)라고 외신은 지적하고 있다.

 

 

 

 

2019 2월 김정은 북한지도자와 Trump미국대통령 간의 정산회담 결렬 이후 평양당국은 지속적으로 남측을 비난하여 오고 있는 형상(Pyongyang has consistently criticised Seoul since the collapse of a summit)이라고 외신은 평가하고 있다.

 

만일 북한이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개최를 놓고 대화에 임할(come on board with hosting) 경우, 남북한 양측이 주요 올림픽이벤트를 공동으로 개최하게 되는 첫 사례가 될 것이다.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개최지선출과정은 IOC가 주요올림픽개최지 선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의 첫 사례가 되는 것으로 이는 올림픽개최지 선정을 놓고 후보 대 후보의 대결투표기회를 종식시키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방식은 IOC총회의 권한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IOC총회에서는 IOC미래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와 IOC집행위원회가 상정한 제안에 대하여 단순히 찬반투표로 형식적 결정만을 요구 받게 되는 것이고 향후 대회개최지 관련 직접적인 입김을 불어 넣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평창은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 이후 6년 만인 2024년에 청소년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 것으로 예약되어 있는 상태(set to host the Winer Youth Olympics)라고 볼 수 있다.

 

2024년청소년동계올림픽종목들은 평창2018동계올림픽개최 경기장에서 열리게 되어 있는 가운데 이미 철거되어 일부 건물 만 남아 있는 개 폐회식장 대체장소 물색이 과제로 떠오고 있다.

 

또한 사후활용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동계올림픽경기장시설도 아마도 2024년까지 그 기능을 유치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Bach IOC위원장은 올림피언들이 평창2018대회에서 출전했던 많은 경기장이 산재한 강원도에서 청소년동계올림픽을 치를 수 있는 기회를 우리에게 가져다 줄 것”(It would give us the opportunity to have the Winter Youth Olympic Games in the Gangwon Province in a big number of venues where the Olympians were competing at Pyeongchang 2018)이며 이는 대한민국과 그 너머에 동계스포츠와 관련하여 구세대에게는 강력한 유산인 반면 신세대에게는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어 줄 것”(It would be a powerful legacy of the older generation, inspiring a new generation with regard to winter sport in South Korea and beyond )이라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2020년 제3회 청소년동계올림픽유치경쟁에서 스위스 Lausanne에게 철저하게 패한 바 있는 루마니아의 Brașov 와 불가리아의 Sofia 역시 2024년 청소년동계올림픽 개최에 관심을 표명했던 바 있다.

 

러시아와 스페인 역시 동 대회 유치를 탐색 및 궁리(mulling over)하고 있었고 중국은 2019년 초 Lausanne2020청소년동계올림픽개최지와 유치가능성에 대하여 논의를 시작한 바 도 있었다.

 

 

[2032년 올림픽포함 IOC 향후 동 하계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Future Host Commissions)구성발표 및 역할스케치(2019 103)]

 

2019년도 가을 IOC집행위원회가 신축 IOC본부 건물인 Olympic House에서 102~3일 양일 간 열렸다.

 

 

(2019 10월 당시 IOC집행위원 15/Olympic House/출처: IOC website)

 

가장 핵심 안건으로 간주되는 향후 올림픽개최지 결정에 따른 IOC개최지 선별위원회구성문제가 논의되고 그 명단까지 확정되어 발표되었다.

 

따라서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과 2030년 동계올림픽 및 2032년 하계올림픽개최지 선정에 따른 제반 절차와 과정을 아우르게 될 향후 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Future Host Commissions)위원들의 면모 또한 중요한 주목거리로 부상하였다

 

우선 동계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 위원장으로는 2026년 동계올림픽평가위원회(Evaluation Commission)위원장으로 활동한 루마니아 ioc위원인 Octavian Morariu가 임명되었다.

 

 

(Octavian Morariu /출처: IOC website)

 

 

하계올림픽 개최지선별위원회 위원장으로는 노르웨이 여성 ioc위원인 Kristin Kloster Aasen(58)가 임명되어 2032년 하계올림픽부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Kristin Kloster Aasen, who was elected as an IOC member in 2017, will chair the Summer Commission ©IOC(2017 IOC총회에서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될 당시/출처: IOC website)

 

두 개의 위원회는 동계위원회(위원장: 남성) 8, 하계위원회가 10(위원장: 여성)로 구성되었는데 모두 양성비율 균형을 염두에 두어 동계위원회가 남녀 각각 4명씩 8, 하계위원회 역시 남녀 각각 5명씩 10명으로 구성되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향후 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위원장 2명 지명과 함께 당초 외신에 회자되었던 2032년올림픽개최지조기선정시기가 2020년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Tokyo2020 개최 IOC총회에서 2032년 올림픽개최지 선정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IOC가 새롭게 출범시킨 향후 올림픽개최지 선별위원회(Future Host Commissions)는 한마디로 올림픽개최도시들 및 국가들에 대한 선별작업을 조정 통제하는 권한을 부여 받은 막강한 위원회로 발족된(agreed to create a potentially powerful Future Host Commissions to control the selection of cities and countries to stage the Games) dl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동 위원회가 활동한 두 개의 스피드과정(two-speed process)에 대해 공개하였다.

 

따라서 동계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는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및 2030년동계올림픽개최지 선별목적 달성을 위해 즉각적인 활동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한편 Bach IOC위원장은 하계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는 동계위원회보다 개최의사를 이미 표명한 도시들과의 대화개재에 약간 여유 있는 행보를 보이게 될 것(more time to enter dialogue with cities)이라고 발표하였다

동위원회의 역할은 올림픽개최지 선별과 관련 가능성 있는 개최지들과 관련하여 그들로 하여금 올림픽개최계획을 발전시키고 기회를 살리도록 반응함과 동시에 IOC집행위원회에 자문하는 것이다.

또한 가능한 개최후보도시들로 하여금 중장기 개발계획에 걸 맞는 지속 가능한 제안과 대중지지와 잠재적 공공기관대상 컨설팅 및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등에 대한 자문(advice for hosts on sustainable proposals that fit long-term development plans, monitoring of public support and potential public consultations and outcomes)을 비롯하여 지역사회공동체와 청소년들을 위한 유산(legacy)성취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대회의 비전을 구체화 하도록 격려해 주는 것도 임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겠다.

동 위원회는 향후 잠재적 개최지방문이 유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결정하게 될 것(The Commissions will decide whether a potential visit to a host would be beneficial)이다.

동 위원회에 적용될 행동강령관련 윤리규정 또한 상세한 내용을 구체화 하여 조속한 시일 내에 발표될 것(Rules of conduct will be put in place for the Commissions, with the IOC saying these will be published in the coming days with the full terms of reference)으로 알려졌다.

 

*References:

-IOC website

-insidethegames

-Gamesbids.com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