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밴쿠버 IOC총회에서 새로 선출된 신임 IOC위원수는 총 8명으로 IOC위원수는 80개국 114명이 되었다.
1999년 IOC총회에서 통과 된 IOC위원 정원(115명)에 가장 근접한 수의 IOC위원이 올림픽운동확산을 위해 문전성시를 이루고99%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제 1명만 더 채우면 올림픽운동 사상 최초로 Full House를 기록하게 된다
1. 유럽(26개국 47명): 노르웨이, 스웨덴(3), 핀란드(2), 아일랜드(2), 영국(4), 네덜란드(2),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2), 폴란드, 헝가리, 우크라이나(2), 크로아티아, 러시아(3),
프랑스(2), 스위스(5),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모나코, 이탈리아(4), 이스라엘,
스페인(2), 그리스, 터키, 덴마크
2. 아프리카(16개국 18명): 모로코(2), 튀니지, 이집트(2), 세네갈, 감비아, 기니, 코트디브아르, 카메룬,
우간다, 잠비아, 나미비아, 남아공, 케냐, 부룬디,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3. 아시아(21개국 24명): 중국(2), 홍콩, 한국(2), 북한, 일본(2), 대만, 필리핀, 태국, 말레이지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 오만, 요르단
4. 아메리카(14개국 20명): 캐나다(2), 미국(3), 멕시코(2), 쿠바(2), 푸에르토리코, 과테말라, 바베이도스,
아루바, 파나마, 콜롬비아, 페루, 브라질(2), 우루과이, 세인트루시아
5. 오세아니아(3개국 5명): 호주(3), 피지, 뉴질랜드
반면 스위스는 5명, 이탈리아 및 영국이 각 4명씩, 러시아, 미국, 스웨덴, 호주, 중국(홍콩 포함)등 5개국은 각각 3명씩, 한국,일본, 캐나다, 멕시코, 쿠바, 브라질, 이집트, 모로코, 스페인, 프랑스, 핀란드, 아일랜드, 네덜란드, 우크라이나, 독일 등 15개국은 각각 2명씩의 IOC위원을 보유하고 있다.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스포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제2회 유스 올림픽(Youth Olympic Games: YOG) 어느 도시로? (0) | 2010.03.15 |
---|---|
2012 런던올림픽, 어떤 음식이 얼마나 제공될까? (0) | 2010.03.15 |
2010년 5대 글로벌 스포츠 빅 이벤트소개Update) (0) | 2010.03.15 |
세계스포츠 대통령, IOC위원장의 위상과 실체 그리고 차기 IOC위원장 후보군소개 (0) | 2010.03.10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은 흑자대회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