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치동계올림픽에서 한국선수들에 대한 기대:
이제 한달 가량 앞으로 다가온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대회에서 한국선수단이 획득할 메달 색깔과 개수에 관심이 모아질 것이다.
세계 피겨 팬들은 한국의 김연아 피겨 퀸의 완벽하고 환상적인 연기에 힘입어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이어 2014년소치동계올림픽에서도 피겨 금메달을 거머쥠으로 이변이 없는 한 2연패의 위업 달성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제 한국 동계스포츠는 쇼트트랙뿐만 아니라 스피드 스케이팅에서의 골드 러시(Gold Rush)현상 또한 기대함 직, 봄직한 즐거운 볼거리 한류 문화로 세계 스포츠 계에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국민들을 살맛나게 해 주는 일등공신 신바람으로 불어 올 차비를 하고 있다.
2) 한국선수단의 역대 동계올림픽 메달획득 현황과 세계동계올림픽 메달지도 변화추이: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공식 포스터)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는 공식 메달이 전무함으로써 세계메달영토 지도에 존재도 없었던 한국은 1992년 제16회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빙상 1,000m종목에 출전한 김윤만선수는 1분14초85의 기록으로 우승한 독일의 Olaf Zinke선수에게 0.01초 차이인 1분14초86의 기록으로 아쉬운 은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일구어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공식 포스터)
동계올림픽 빙상종목에 처음 채택된 숏트랙에서 예상대로 한국선수들은 발군의 기량으로 금메달 2개(남자 1,000m 김기훈, 남자 5,000m 계주 금메달<김기훈, 이준호, 송재근, 모지수선수>) 동메달 1개(남자 1,000m 이준호선수)를 거두어 최고의 성과를 냈다.
한국은 금2, 은1, 동 1의 성적으로 일본(금1, 은2, 동 4)을 제치고 메달 종합순위에서 일약 세계10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였다.
[1992년도: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동메달 1개 성적으로 종합 순위10위의 세계 동계올림픽메달 지도에 한국영토가 표시되기 시작함]
1994년 제17회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는 숏트랙 강세에 힘입어 금 4, 은1, 동1로 종합메달 순위 6위를 기록했지만 오직 숏트랙 한 종목에 치우친 성과로 동계스포츠의 균형 있는 발전이라는 보편적 원칙에는 접근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공식 포스터)
-김기훈 선수: 남자 숏트랙 1,000m 금메달(알베르빌에 이은 2연승)
-채지훈 선수: 남자 숏트랙 5,00m 금메달, 1,000m 은메달
-전이경 선수: 여자1,000m 금메달
-김소희, 전이경, 원혜경, 김윤미선수: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김소희 선수: 여자 1,000m 동메달
한편 올림픽 최연소 우승기록은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숏트랙 여자 3,000m에서 우승한 한국팀 김윤미선수가 당시 13세 85일이었다.
[1994년도: 금 4, 은1, 동1로 종합메달 순위 6위로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지도 내 한국영토가 표시됨]
1998년 제18회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선수단은 금3, 은1, 동2개로 메달 종합순위 9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역시 숏트랙 한 종목에 편중되는 불균형적인 성적이었다.
한국선수단은 스키점프와 루지를 포함한 63명(임원25, 선수 38)을 파견하였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공식 포스터)
-김윤만 선수: 남자 빙상 500m 7위(1분12초36)
-이규혁 선수: 남자 빙상 1,000m 13위
-김동성 선수: 남자 숏트랙 1,000m 금메달
-전이경 선수: 여자 숏트랙 1,000m 금메달
-원혜경 선수: 여자 숏트랙 1,000m 동메달
-여자 숏트랙 3,000m 계주: 금메달
-남자 숏트랙 5,000m 계주: 은메달
-이규현 선수: 피겨 남자 싱글 24위
-허승욱 선수; 남자 스키 회전 23위, 대회전 33위
[1998년도: 금3, 은1, 동2개로 메달 종합순위 9위로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지도에 한국영토가 표시됨]
2002년 제19회 솔트 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 한국은 76명(임원28, 선수 48)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로 메달 종합순위 14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규혁 선수: 남자 빙상 500m 5위(레이스 종합기록69초59), 1,000m 8위(1분8초61)
-이승환 선수: 남자 빙상 5,000m 28위(6분37초67)
-최승용 선수: 여자 빙상 5,00m 18위(조선연 선수 25위 및 이용주 선수 29위)
-조선연 선수: 여자 빙상 1,000m 29위
-조은비 선수: 여자 빙상 3,000m 25위
-최홍철, 최용직, 김현기, 강칠구 선수: 남자 스키 점프 30위, 34위, 36위, 46위 (중위권기록) 및 스키 점프 단체전 8위
-고기현 선수: 여자 숏트랙 빙상 1,500m 금메달
-최은경 선수: 여자 숏트랙 빙상 1,500m 은메달
-최민경, 최은경, 박혜원, 주민진: 여자 숏트랙 3,000m 계주 금메달
[2002년도: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로 메달 종합순위 14위로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지도 내 한국영토가 표시됨]
2006년 제19회 토리노 동계올림픽에 한국은 41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금6, 은3, 동 2개 등 11개의 메달을 획득하였으며 메달 종합순위 7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선수단은 북한선수단과 함께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대회 개회식에 공동입장하였다.
-안현수 선수: 남자 숏트랙 5,00m 동메달, 1,000m, 1,500m 및 5,000m 계주 각각 금메달 (3관왕)
-이호석 선수: 남자 숏트랙 1,000m 및 1,500m 각각 은메달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 선수: 남자 숏트랙 5,000m 계주 금메달
-진선유 선수: 여자 숏트랙 1,000m, 1,500m 및 3,000m 각각 금메달 (3관왕)
-최은경 선수: 여자 숏트랙 1,500m 은메달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 선수: 여자 숏트랙 3,000m 계주 금메달
-이강석 선수: 남자 빙상 500m 동메달
-이규혁 선수: 남자 빙상 1,000m 4위
-이상화 선수: 여지 빙상 500m 5위
-강광배 선수: 남자 스켈레톤 23위
[2006년도: 금6, 은3, 동 2개 등 11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메달 종합순위 7위로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지도 내 한국영토가 표시됨]
2010년 제21회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한국은 빙상과 알파인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스켈레톤, 루지 등 5개 종목에 46명의 선수를 파견한 한국은 역대 최다 메달기록인 금메달 6개와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 등 총 14개의 메달을 획득해 국가별 메달 종합순위에서 5위에 오르는 쾌거를 이루어 냈다.
특히 역대 대회참가에서 쇼트트랙에만 의존했던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스피드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까지 금메달 영역을 확대해 세계적인 빙상 강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한국선수단은 빙상종목에서 `07학번' 삼총사 모태범과 이상화, 이승훈(이상 21.한국체대)이 금메달 3개와 은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특히 최단거리인 남녀 500m를 한 국가가 독식한 것은 동계올림픽 사상 한국이 처음이며 최장거리인 남자 10,000m까지 휩쓴 것은 더욱 최초의 사건으로서 평가되었다.
세기의 관심을 모았던 피겨스케이팅에서는 `피겨퀸' 김연아(20.고려대)가 한국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역대 최고점수인 228.56점)을 획득해 세계적인 `피겨여왕'으로 재확인 그리고 재검증되었다.
한국선수단은 동계 올림픽에 첫 출전한 봅슬레이가 남자 4인승에서 19위에 오르며 결선레이스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고 모굴스키와 스노보드 등에서 가능성을 함께 보였다.
개최국인 캐나다가 종합 1위, 독일이 2위, 미국이 3위를 차지했다.
아시아에선 중국이 금 5, 은2, 동4개로 종합 7위를, 일본은 달랑 은3, 동2개로 노골드의 치욕적인 성적으로 20위에 그쳤다.
[2010년도: 드디어 한국은 역대 최다 메달기록인 금메달 6개와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 등 총 14개의 메달을 획득해 국가별 메달 종합순위에서 5위로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지도 내 한국영토가 아시아 최대영토 보유국으로 표시됨]
3) 한국의 세계 동계올림픽 메달 지도내 영토(아시아 1위 !):
(사진출처: 영국 셰필드대학 지리학부 SASI연구소//연두색은 한국, 중국이고 보라색이 일본 영토이다)
영국 셰필드대학 지리학부 SASI연구소가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공개한 동계올림픽 메달 지도를 보면 한국이 드디어 일본보다 2배 이상 넓고 중국도 추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위 지도에서 보면 한국은 전 세계에서 제7위로 넓은 메달 영토 점유국인 셈이다.
지난 2010년 2월 열렸던 밴쿠버동계올림픽 메달 개수를 기준으로 지도를 update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SASI연구소는 대륙별 색깔로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는 연두색으로 표기했으나 일본은 보라색으로 구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총 37개의 메달을 획득한 미국이 최대 영토(1위)를 자랑하고, 독일(2위)과 캐나다(3위)가 각각 30개와 26개로 메달영토의 뒤를 이었다.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 등 전체 메달 14개를 챙긴 한국은 러시아(15개) 다음으로 큰 나라가 되었다.
거대한 중국(11개)도 한국에 비하면 작은 나라가 된 셈이다.
금메달 개수로만 따진 지도에서 한국의 영토는 한층 더 넓어 진다.
캐나다(14개), 독일(10개), 미국, 노르웨이(이상 9개) 다음으로 큰 나라다.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지가 만든 지도에서도 한국의 2010년 영토는 초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넓어 진 것으로 알려졌다.
1988년(캘거리동계올림픽)까지만 해도 영토가 전무했던 한국은 1992년에 김기훈선수를 비롯한 막강 쇼트트랙 한국 선수들의 금메달 2개를 비롯한 한국 스피드 스케이팅 역사 상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딴 한국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들이 외신 기자회견에 임하고 있다/좌로부터 이준호남자 단체 금메달리스트, 통역 중인 필자, 김기훈 2관왕)
이후 일취월장을 지속해온 한국은 드디어 2010년에는 역대 최고 성적으로 아시아 1위의 최대영토를 점유한 국가로 우뚝 섰다.
이제 30일 앞으로 다가온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선수들의 선전으로 적어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성적을 유지한다면 한국은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국으로서 아시아 부동의 최대영토 보유 맹주의 자리를 지켜 명실상부한 동계올림픽 아시아 최강국의 타이틀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연아 선수 올림픽 3관왕(?) 고지 달성을 향하여 (0) | 2014.01.12 |
---|---|
양평 국수리 명품전원주택(Passage House)과 평산 스포츠박물관 (0) | 2014.01.09 |
2014소치 동계올림픽 전 세계국가 정상들 누가 참석하나? (0) | 2013.12.24 |
2020 올림픽 아젠다(Olympic Agenda 2020)분석 (0) | 2013.12.21 |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선출 IOC선수위원 2명 선출 임박 (0) | 201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