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6. 9. 7. 14:53

 

 [IOC 현황전반과 한국스포츠외교역량강화위한 중국사례 벤치마킹 포인트 Update]

 

*순서:

가. 2016년 IOC위원 세대교체와 한국의 스포츠외교 발자취와 전성시대

나. 중국의 스포츠외교관 발탁과 IOC집행부 지속적 자리매김 및 승승장구 과정 벤치마킹 포인트

다. IOC위원 선출 현황 Update (정원 총 115명 중 98명)

   (1) 70개국 98(2016년 9월 7일 현재)의 대륙별 분

   (2) IOC집행위원 15명 현황(2016년 9월7일 현재)

   (3) 70개국 98명 IOC위원들의 국가별 현황(2016년 9월7일 현재)

   (4) IOC 분과위원회현황(20162월 현재)

 

1. 2016년 IOC위원 세대교체와 한국의 스포츠외교 발자취와 전성시대

 

지난 8월 Rio2016올림픽과 맞물려 개최된 제129차 IOC총회에서는 집행위원 선거와 신임 IOC위원 후보 선임에 따른 IOC총회의 찬반투표를 통해 8명이 새롭게 선출된 바 있습니다.

 

                                         (출처: IOC홈페이지)

 

또한 Rio2016올림픽 기간 중 각국선수들이 직접 투표로 뽑은 선수 IOC위원 4명+1명이 탄생하였습니다.

 

(Rio2016 신임 선수 IOC위원 4명+1명 및 Bach IOC위원잦<우-3>/출처: IOC홈페이지)

 

다행히 한국의 유승민 후보가 각국에서 입후보한 23명 후보 들 중 2위를 차지하여 당당히 선수출신 IOC위원(2016~2024)에 선출되어 IOC위원으로 활동을 개시하였습니다.

 

전 세계올림픽과 스포츠를 관장하여 세계스포츠내각이라 불리는  IOC집행위원 15명 중 한국을 대표하는 집행위원은 2003년 이래 13년 간 전무합니다.

 

지구촌 5개 대륙 206개국 NOCs총 연합회 격인 ANOC에도 한국인 출신 집행위원은 언감생심 그 누구도 발을 들여 놓은 흔적 조차 없습니다.

 

국제스포츠연맹총연합회(GAISF: SportAccord의 전신)회장 겸 IOC부위원장을 역임한 김운용 WTF 창설총재만이 한국인으로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IOC집행위원, IOC부위원장, IOC TV분과위원장, KOC위원장 등 3대 국제스포츠 기구<IOC, IFs, NOC>를 석권한 유일무이한 불세출 한국의 최고 스포츠외교관입니다.

 

(좌로부터: Tamas Ajan IWF<국제역도연맹>)회장, 고 사마란치 전 IOC위원장, 김운용 GAISF회장 겸 IOC부위원장, 고 Peter Tallberg 핀란드 IOC위원)

 

김운용 전 IOC부위원장이 한국을 대표하는 1986년 IOC위원으로 선출되어 계보를 이어가면서 한국 스포츠외교는 전성기를 맞이한 셈입니다.

 

(서울올림픽 개최 10주년 행사1998년 : 앞줄 좌로부터: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김운용 IOC부위원장, 신낙균 당시 문화관광부장관 및 고건 당시 서울시장 겸 전 국무총리) 

 

그는 1989년 KOC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KOC는 그 이후 2003년 김운용 IOC집행위원이 정치적 소용돌이에 휘말려 IOC위원 직을 사임한 후 한국 스포츠외교는 쇠퇴기로 접어 들었습니다.

 

한 때 한국은 3명의 IOC위원을 보유하였고 IOC집행위원, IOC부위원장, GAISF회장, 국제올림픽종목<태권도>연맹(WTF)총재는 물론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 태권도정식종목채택 쾌거, 각종 주요 국제행사 싹쓸이(?) 한국개최  등으로 전 세계 스포츠 계를 주름잡으며 한국 스포츠외교의 위상이 최고조에 달 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건희 개인자격 IOC위원)

 

 

2. 중국의 스포츠외교관 발탁과 IOC집행부 지속적 자리매김 및 승승장구 과정 벤치마킹 포인트

 

중국의 경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유치결정을 1년 앞둔 시점인 2000년 국가차원에서 Zaiqing YU를 NOC자격 IOC위원으로 추천하여 차세대 중국국가대표 스포츠외교관으로 발탁함으로 국가차원의 IOC위원 만들기에 성공하였습니다. 

 

                                                   (출처: IOC 홈페이지)

 

그럼으로써 유권자들인 IOC위원들 속에 자리매김한 Zaiqing YU 새내기 IOC위원은 선출된지 1년 여 동안 2008년 베이징올림픽유치성공(2001년)에 견인차 역할을 담당한 셈입니다.

 

그 여세를 몰아 IOC위원으로 선출된지 4년, 베이징2008올림픽유치성공 3년만인 2004년에 아테네 올림픽 개회식 직전 개최된 IOC총회에서 IOC위원 선출 단 4년 만에 초스피드로 IOC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 저변에는 차기 올림픽개최국으로서의 프리미엄이 분명히 작용하였습니다.

 

2004년부터 IOC집행위원으로 자리매김한 Zaiqing YU 중국 IOC위원은 2008년 IOC집행위원임기종료와 함께 이번에는 IOC부위원장 선거에 나서 무난히 당선되었습니다.

 

이 또한 베이징2008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올림픽기간 동안 중국 측의 IOC위원들에 대한 환대와  중국 측의 활발하고 지속가능한 스포츠외교활동의 덕택으로 분석됩니다.

 

2012년 IOC부위원장 임기를 마친 결과 규정상 8년 연속 IOC집행위원회에서 벗어나 2년 간 관망하다가 다시 2014년 IOC부위원장에 다시 선출된 중국 스포츠외교관이 바로 Zaiqing YU입니다.

 

그는 2014년에 IOC부위원장 직에 선출되었으므로 2018년까지 그 직위를 유지하게 되며 또 다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국 프리미엄을 발판으로 IOC부위원장 직을 추가로 4년더 연장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20여 년 간 IOC 수뇌부에서 자리매김하는 진귀하고 효과적인 스포츠외교의 성공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Zaiqinbg YU와 함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IOC본부호텔)

 

그러한 맥락에서 중국정부의 스포츠외교관 육성 정책에 힘입어 그는 1999년이래 17년 째 중국 NOC 부위원장 직을 유지하면서 그 와중에 ANOC부회장으로도 자리매김함으로써 중국스포츠외교 대들보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1951년 생인 YU는 IOC위원 연령제한 70세를 감안할 경우 2021년까지 IOC위원 활동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개최국 프리미엄을 활용하여 아마도 IOC가 예외적으로 5명까지 적용(Olympic Agenda 2020)하고 있는 연령제한 초과 4년 연장 혜택 수혜자 후보로 일찌감치 예견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그리될 경우 Yu는 2025년까지 IOC위원으로 재직하며 중국의 스포츠외교관 세대교체 교두보 역할까지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됩니다.

 

중국은 현재 3명의 IOC위원을 보유한 막강한 스포츠외교강국으로 이미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스포츠외교의 미래가 보입니다.

 

 

         (중국 국가대표 스포츠외교 3인 방 IOC위원/출처: IOC 홈페이지)

 

 

 

 

 

3. IOC위원 선출 현황 Update (정원 총 115명 중 98명)

 

 

1) 70개국 98(2016년 9월 7일 현재)의 대륙별 분

 

구 분

국 가

유 럽

(26개국 44)

노르웨이, 스웨덴(2), 덴마크(2), 핀란드, 아일랜드,

영국(4), 벨기에, 독일(2),헝가리(2), 우크라이나(2),

러시아(3), 프랑스(2), 스위스(4), 이탈리아(3), 스페인(3),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폴란드, 모나코, 터키, 이스라엘,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세르비아

아프리카

(13개국 14)

모로코, 이집트, 감비아, 나이지리아, 카메룬, 부룬디,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2), 지부티, 짐바브웨, 케냐,

에티오피아, 세네갈

아 시 아

(16개국 19)

중국(3), 북한, 일본, 한국(2), 홍콩,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파키스탄, 시리아, 쿠웨이트,

카타르, 요르단, 필리핀, 인도

아메리카

(11개국 15)

캐나다(3), 미국(3), 푸에르토리코, 과테말라, 바베이도스

아루바, 세인트루시아, 페루,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오세아니아

(4개국 6)

호주(2), 뉴질랜드(2), 파퓨아뉴기니, 피지

 

2) IOC집행위원 15명 현황(2016년 9월7일 현재)

 

직 위

성 명

국 적

위 원 장

Thomas Bach

독 일

부위원장

John D.Coates

호 주

부위원장

Zaiqing Yu

중 국

부위원장

Juan Antonio Samaranch Jr.

스 페 인

부위원장

Ugur Erdener

터 키

집행위원

Ching Kuo Wu (ASOIF 대표)

대 만

집행위원

Gian Franco Kasper

스 위 스

집행위원

Patrick J. Hickey* (ANOC 대표)

아 일 랜 드

집행위원

Angela Ruggiero (선수 대표)

미 국

집행위원

Anita L. Defrantz

미 국

집행위원

Gunilla Lindberg

스 웨 덴

집행위원

Sergey Bubka

우크라이나

집행위원

Willi Kaltschmitt Lujan

과 테 말 라

집행위원

Ser Miang Ng

싱 가 폴

IOC사무총장

Christophe De Kepper

벨 기 에

 

 

 3) 70개국 98명 IOC위원들의 국가별 현황(2016년 9월7일 현재)

 

대륙별

IOC위원

국가

번호

대륙별

IOC위원

국가

번호

대륙별

IOC위원

국가

번호

대륙별

IOC위원

국가

번호

유럽

(44)

Gerhard Heiberg

NOR

1

유럽

(44)

Juan Antonio Samaranch Jr.

ESP

31

아프

리카

(14)

AichaGaradAli

DJI

54

아메

리카

(15)

Anita Defrantz

USA

80

Gunilla Lindberg

SWE

2

Marisol Casado

ESP

32

Kirsty Coventry

ZIM

55

Angela Marie Ruggiero

USA

81

StefanHolm

SWE

3

JosePerurena(1945,2011선출)

ESP

33

Paul Tergat

KEN

56

Larry Probst

USA

82

HRHFrederik

DEN

4

Ugur Erdener

TUR

34

Mamadou Diagna Ndiaye

SEN

57

Richard Carrion

PUR

83

Poul-Erik HOYER

DEN

5

Danka Bartekova

SVK

35

Anant Singh

RSA

58

Willi Kaltschmitt Lujan

GUA

84

Patrick Hickey(1945,1995선출)

IRL

6

OctavianMorariu

ROM

36

PatrickChamunda(1945)

ZAM

 

Austin Sealy

BAR

85

Phillip Craven

GBR

7

Camiel Eurlings

NED

37

아시아

(19)

Zaiqing Yu

CHN

59

Nicole Hoevertsz

ARU

86

Craig Reedie

GBR

8

Nenad Lalovic

SER

38

Yang Yang

CHN

60

Ivan Dibos

PER

87

The Princess Royal

GBR

9

HUN

15

VitalySmirnov(1935)

RUS

 

Nat Indrapana

THA

67

OlegarioVazquezRana(1935)

MEX

Valeriy Borzov

UKR

16

JosephBlatter

SUI

Prince Tunku Imran

MAS

68

ARG

89

Grand Duke of Luxembourg

LUX

11

Karl Stoss

AUT

41

이건희

ROK

63

Bernard Rajzmam

BRA

90

Pierre-OlivierBeckers-Vieujant

BEL

12

Britta Heidemann

GER

42

Tsunekazu Takeda

JPN

64

Luis Alberto Moreno

COL

91

Thomas Bach

GER

13

Daniel Gyurta

HUN

43

Timothy Tsun Ting Fok

HKG

65

Tricia Smith

CAN

92

Irena Szewinska

POL

14

Yelena Isinbayeva

RUS

44

Ching-Kuo Wu

TPE

66

JamesEaston

USA

 

Pal Schmitt

HUN

15

VitalySmirnov(1935)

RUS

 

Nat Indrapana

THA

67

OlegarioVazquezRana(1935)

MEX

Valeriy Borzov

UKR

16

JosephBlatter

SUI

Prince Tunku Imran

MAS

68

AndresBoteroPhillipsbourne

COL

Sergey Bubka

UKR

17

OttavioCinquanta

ITA

Ser Miang Ng

SIN

69

JulioCesarMaglione(1935)

URU

Shamil Tarpischev

RUS

18

OleEinarBJORNDALEN

NOR

Shahid Ali

PAK

70

YumilkaRuizLuaces

CUB

Alexander Zhukov

RUS

19

LambisNikolaou(1935)

GBR

Samih Moudallal

SYR

71

오세아니아

(6)

John Dowling Coates

AUS

93

Guy Drut

FRA

20

ClaudiaBokel

GER

Ahmad Al-Fahad Al-Sabah

KUW

72

James Tomkins

AUS

94

Tony Estanguet

FRA

21

AlexanderPopov

RUS

Tamin Bin Hamad Al-Thani

QAT

73

Robin E. Mitchell

FJI

95

Patrick Baumann

SUI

22

아프

리카

(14)

Nawal EL Moutawakel

MAR

45

HRH Prince Feisal

JOR

74

Barry Maister

NZL

96

Rene Fasel

SUI

23

Mounir Sabet

EGY

46

Mikaela Cojuangco Jaworski

PHI

75

Auvita Rapilla

PNG

97

Gian Franco Kasper

SUI

24

Beatrice Allen

GAM

47

Nita Ambani

IND

76

Sarah Walker

NZL

98

Denis Oswald

SUI

25

Habu Gumel

NGR

48

유승민

ROK

77

BarbaraKendall

NZL

 

Princess Nora

LIE

26

Issa Hayatou

CMR

49

ToniKhoury(1935)

LIB

 

 

Prince Albert II

MON

27

Lydia Nsekera

BRU

50

RitaSubowo

INA

Franco Carraro

ITA

28

Frank Fredericks

NAM

51

문대성

ROK

Mario Pescante

ITA

29

SamRamsamy

RSA

52

아메

리카

(15)

Richard Pound

CAN

78

Alex Gilady

ISR

30

Dagmawit Girmay Berhane

ETH

53

Hayley Wickenheiser

CAN

79

 (자료출처: POCOG 국제국)

 

4) IOC 분과위원회현황(20162월 현재)

 

 

[*31 IOC분과위원회/Commissions]

 

(1)  Legal Affairs

 

(2)  Public Affairs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Sport

 

3)  Athletes

 

4)  Olympic Channel

 

5)  Audit Committee

 

6)  Communications

 

7)  Coordination for Youth Olympic Games Lillehammer 2016

 

8)  Coordination for Youth Olympic Games Buenos Aires 2018

 

9)  Coordination for Youth Olympic Games Lausanne 2020

 

10)               Coordination for the Olympic Games Rio De Janeiro 2016

 

11)               Coordination for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12)               Coordination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2018

 

13)               Coordination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Beijing2022

 

14)               Evaluation for 2024 Olympic Games

 

15)               Culture and Olympic Heritage

 

16)               Sustainability and Legacy

 

17)               Olympic Education

 

18)               IOC Members Election

 

19)               Athletes' Entourage

 

20)              Ethics

 

21)              Women In Sport

 

22)              Finance

 

23)               Marketing

 

24)               Medical and Scientific

 

25)               Olympic Programme

 

26)               Sport and Active Society

 

27)               Olympic Solidarity

 

28)               Olympic Channel -Boards of Directors

 

29)               Delegate Members

 

30)               Olympic Broadcasting Services -Boards of Directors

 

31)               IOC Representatives on the WADA Executive Committee and

Foundation Board

 

 

 

*References:

-IOC 홈페이지

-POCOG 게시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