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21편(21세기쿠베르탱 Coubertin 호칭과 KOC 올림픽아카데미 특강 올림픽 표어Olympic Motto)이야기]
필자는 2006년 4월 27일~29일 대명 홍천 비발디파크에서 개최된 KOC 주최 제18기 올림픽아카데미 정규과정에 홍양자 KOC 부위원장 겸 KOC 올림픽아카데미위원회 위원장의 초청을 받아 첫날 한승수 20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강연1연사: 동계올림픽과 지역사회발전) 및 장주호 한국올림픽아카데미 회장(강연2연사: 올림피즘교육)에 이어 강연3연사/발표자로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전략과 국제스포츠외교에 대하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겸 2014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자격으로 강연을 하고 돌아왔다.
(1947년 스톡홀름 IOC총회에 회원국으로 가입 시부터 등록되어 60년 이상 전세계에 통용되고 사용되었던 유서 깊고 전통이 서려있는 원래의 KOC로고)
18년째를 맞이한 KOC 올림픽아카데미 정규 과정은 김정길 KOC 위원장이 축사내용에 소개한 대로 올림픽이 그동안 사회, 문화, 교육, 철학 등 전 분야에 걸쳐 얼마나 인류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를 강의와 토론을 통해 재조명하는 뜻 깊은 올림픽운동이론 및 현장교육 그리고 고찰 시간을 갖게 하는 유익한 행사이다.
필자는 1986년 그리스, 올림피아(고대 올림픽발상지: 올림픽성화가 점화되는 곳)에서 개최된 국제올림픽아카데미(IOA)에 5명으로 구성된 한국대표단장 격으로 참가하여 전 세계에서 모인 젊은 올림픽 학도들과 2주간 걸친 올림픽운동의 지혜와 국제친선토론의 현장에 직접 참여하고 체험한 바 있다.
(고대 그리스 올림피아 IOA본부에서 국제올림픽아카데미<IOA>회장 Nissiotis부부<맨 아래 사진> 및 Otto Schemitzech IOA학장<사진 중간 우측>과 함께/1986년)
필자는 2014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당위성과 2010 유치 당시 비화 등 알려지지 않았던 따끈따끈한 현장이야기를 비롯하여 2007년 7월 4일 제119차 IOC 총회에서 평창의 성공적 동계올림픽 유치를 달성키 위한 「과테말라 대첩」필승 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하였고, 근대올림픽역사에 대하여 간략한 요약형식으로 되짚고 총괄적으로 재조명하는 유익한 시간을, 전국에서 참가 등록한 130명의 수강생(체육전공 대학생, 대학원생, 체육교사, 가맹경기단체 실무직원 등)들과, 함께 나누기도 했다.
근대올림픽을 부활시킨 주역인 쿠베르탱 남작이 주창하여 Faster or Swifter, Higher, Stronger<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힘차게>)에 대한 필자의 생생한 스포츠외교현장 체험이야기도 함께 나누었다.
(2019년 6월 Olympic House IOC신축본부 이전 전년도인 2018년 당시 IOC본부 현관에 근대올림픽 부활자인 Baron Pierre de Coubertin 제2대 IOC위원장 두상이 전시되어 있었던 곳에서 오리지널 쿠베르탱과 살아있는 21세기쿠베르탱<?>과 함께)
2002년 말레이지아 콸라룸푸르 개최 ANOC(국가올림픽위원회 총연합회) 총회에 KOC 공식 회의대표 자격으로 참가하여 총회 4일째 IOC 집행위와의 연석회의(Joint Meeting Between IOC EB and NOCs) 시, 2001년도에 새로 선출된 자크 로게 IOC 위원장으로부터 발언권을 부여 받은 필자가 올림픽표어에 대하여 질문 겸 건의 발언을 하였다.
필자의 건의내용은 기존 "Citius, Altius, Fortius"는 쿠베르탱 남작이 근대올림픽(1896년 제1회 아테네올림픽대회 정식종목은 육상, 사이클, 펜싱, 체조, 사격, 수영, 테니스, 역도, 레슬링 등 9개였음) 제6회 대회인 1924년 파리올림픽 당시 처음 도입하여 사용되어 왔으나, 스포츠의 진화(evolution)와 올림픽정식종목의 다양화 및 다변화에 따라 올림픽표어 내용도 상응하는 조율(Fine-Tuning)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한 것 같다고 우선 전제하였다.
그것에 대한 예시 설명으로서 정교함, 정확성, 생동감이 부각되어 우승자를 가리는 사격이나 양궁, 피겨스케이팅 그리고 리듬체조 등에 “Citius, Altius, Fortius”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올림픽표어가 지향하는 메시지와 부합되지 않고 있음으로 해서 기존의 것은 살리되, 새로운 올림픽표어의 출현이 보완적으로 필요하다고 역설하자, 로게 IOC 위원장은 필자의 새로운 올림픽표어 내용을 제시하지 않겠느냐고 자못 궁금해했다.
필자는 평소 생각해 왔던 ‘V .I. P.’론을 꺼냈다: “More Vividly, Impressively, Precisely”(보다 명확하게, 보다 인상 깊게, 보다 정교하게)
(2004년부터 필자가 창설하여 운영해 오고 있는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로고 및 슬로건)
이 새로운 올림픽표어(안)를 경청하고 난 뒤 로게 IOC 위원장은 “귀하가 이 새로운 안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IOC는 검토할 용의가 있노라”(Unless you claim an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IOC will consider it)고 답변한 바 있다.
동 회의가 모두 끝난 후 마리오 바즈케즈 라냐 ANOC 회장은 필자에게 “Courbertin in the 21st Century(21세기 쿠베르탱)”이 탄생했다고 개인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는 요지의 현장이야기를 포함한, 제한된 시간에 여러 가지 스포츠외교 현장이야기 겸 강의를 끝내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게 되었다.
(ANOC창설회장<1979~2012> 겸 IOC집행위원인 Mario Vazquez Rana회장과 함께)
수
강생들의 수준 높은 질문이 서너 차례 있었고, 시간이 이미 초과한 필자의 강연을 마무리할 시점에서 수강생 자격으로 강연을 청취하던 모 대학의 저명한 교수 한 분이 끝으로 질문을 추가하였는데, 그분은 자신이 교육자로서 그릇된 지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도저히 교육적 양심상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라서 그 진실을 밝히겠노라고 열변을 토하였다.
그 내용인즉 “Citius, Altius, Fortius”가 단순히 「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강하게」라는 경기 중 경쟁적 특성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을 통해서 「두뇌의 보다 빠른 회전으로 인한 지적 능력 향상, 보다 높은 이상을 갖게 되는 덕성 함양, 그리고 보다 강건한 체력 달성」이므로 이는 전인교육의 표상인 「지·덕·체」의 완성 지향 표어라는 요지의 항변(?)이 있었다.
강연자로서 강단에 섰던 필자로서는 지난 24년간 수많은 각종 스포츠 관련 IOC등 국제회의, 세미나를 비롯하여 10개 동·하계올림픽대회 참가 및 현장경험과 지식축적과정 등을 통해 각인하고 인식하고 체험하고 습득했던 정통 올림픽 이론을 그분이 「지·덕·체」란 교육 표어에 접목시켜 기발한 발상으로 새로운(?) 학설을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바람에 정말 난감했다.
그렇다고 그 자리에서 논쟁을 벌일 상황은 아니어서, 그 학설도 일리가 있으나, IOC 위원장을 포함한 전 세계 스포츠지도자, 행정가, 교수들이 운집한 가운데 이루어졌던 필자의 V. I. P론 관련 발언 임을 고려할 때, “다소 다른 이론이지만 그 취지는 100% 이해하겠고, 또 다른 쿠베르탱이 계시는군요.”라고 하면서 역시 논어 수리 편에 나오는 「三人行必有師」라, 스승 역할 하시는 분이 반드시 계시기 마련입니다."라고 사태를 수습하고 강연을 마무리했다.
향후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이 사단법인으로 등록이 되면 이러한 유익한 아카데미강좌와 정규과정을 통하여 올림픽의 가치와 올림픽에 대한 상설 아카데미교실 운영을 통해 올림픽운동확산에 기여하고 싶다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22편(나의 스포츠외교인생 국제통 그리고 더블 밀리언 마일러 대한항공 Double Million Miler OST) (0) | 2020.10.03 |
---|---|
IOC 이태리올림픽위원회(CONI)에게 우려 표명 및 자격정지 가능성 경고 메시지 (0) | 2020.10.02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20편(스포츠외교집대성 책 6권 출간 및 7번 째 책 2020년 10월 출간) (0) | 2020.09.28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9편(국제스포츠 인재Talents아카데미특강 3시간 국내가맹경기단체 체육외교관들과의 비대면 소통) (0) | 2020.09.27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8편(그리운 금강산 기행 OST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및 FIFA월드컵 축구 성공다짐기원)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