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강로의 스포츠 학(Sportology)및 올림픽 학(Olympicology) 현장 친화적 개념 정립이야기 1편]
필자는 당시 이상철 한국체육대학교 총장의 추천으로 2000년-2001년 2년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에서 1주일에 한 번 강의(겸임교수)를 하였다.
이어서 관동대학교(겸임교수)-서울시립대학교(겸임교수)-중국 인민대학교(객좌교수)등지를 비롯하여 모교인 외대-서울대-연세대-서강대-성균관대-이화여대-숙명여대-서울여대-상명여대-경기대-인천대-부산동서대학 등지에서는 특강을 진행하면서 스포츠와 올림픽에 대한 주제로 100회 이상 강연을 진행했던 바 있다.

그 당시 30여 년간 국제 스포츠 외교현장에서의 실무 경험과 국제 동향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강의를 하려니까 시중에는 적절한 교재도 없고 해서, 하는 수 없이 매주 강의할 내용을 연구 개발하여 교재 화 한 후 수강생들에게 나누어주고 강의에 임하였다.
대학원 야간 수업에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스포츠에 대한 향학열(desire for learning)을 불태우는 수준 높은 분들이 수강해서 수업 분위기도 진지했고 강단에 서는 필자도 사전에 수업준비를 철저히 해야 했다.
필자가 제일 먼저 고민한 부분은 스포츠(Sports)에 대한 간단 명료(simplicity and clarity)한 정의(Definition)였다. 「스포츠란 뭘까?」라는 화두(Topic/Subject)로 여러 날을 생각하면서 고민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