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8. 10. 8. 11:06

[2032년 올림픽남북공동유치와 스포츠외교(조선일보 10월8일 자 발언대 기고문)]

 

 

서울1988올림픽30주년 해인 금년 2월 열린 평창2018동계올림픽이 한반도 평화정착의 계기가 되었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유산(Legacy)이 된 4.27 남북정상회담을 시작으로 9.18 3차 평양남북정상회담에서 2032년 올림픽 남북공동유치계획도 함께 확정 선포된 바 있습니다.

 

 

올림픽은 지구촌평화와 화합의 전령사다. 서울1988올림픽은 손에 손잡고 동서냉전을 종식시켜 독일통일과 소련 위성국가들에게 독립과 자유를 선사한 밑 걸음이 되었습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은 북핵과 미사일로 일촉즉발 위기의 한반도를 평화공존의 장으로 인도하였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올림픽을 찬양하며 축하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과거 비약적인 스포츠 외교력을 발휘하여 동 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세계 4대 스포츠 제전을 한 세대 30년이란 최단기간에 모두 개최한 유일무이한 국가반열에 오르게 되었으며 세계에서 5번째 국제스포츠 그랜드슬램 달성국가(G-5)가 되었습니다.

 

지구촌에서 하계올림픽을 같은 도시에서 두 번 이상 치른 나라는 그리스(아테네: 1896/2004), 프랑스(파리: 1900/1924/2024), 영국(런던: 1948/2012), 미국(LA: 1932/1984/2028), 일본(도쿄: 1964/2020) 5개국 인데,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을 개최하면 대한민국은 6번 째 국가가 되며 동시에 미국 LA와 함께 최단기간인 44년만에 두 번씩 개최하는 나라가 됩니다.

 

 

지구촌 스포츠외교는 사실상 IOC위원이 주도하는데 중국이 3, 일본이 2명인데 반하여 한국은 지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 선수자격으로 임기8년의 IOC위원이 된 유승민이 유일하다. 미국은 최근 올림픽위원회 위원장과 사무총장 등 수뇌부 모두를 경질하여 여성일색이 되었으며 2명의 IOC위원 또한 모두 여성입니다.

 

 

대한민국은 그 동안 김운용 IOC부위원장, 박용성IOC위원 사임에 이어 작년 와병으로 자진 사임한 이건희 IOC위원의 공백 후 평창2018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고도 여전히 개인자격 IOC위원이 증발상태입니다. 이것이 한국스포츠외교의 현주소입니다.

 

 

2032년올림픽유치의 선봉은 IOC위원인데 한국은 스포츠외교에 관한 한 조용한 아침의 나라”(Land of Morning Calm)입니.

 

 

수자격 유승민 IOC위원 혼자만의 힘으로는 2032년 남북올림픽공동유치가 녹록하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스포츠외교일꾼 발굴과 양성 그리고 국가차원의 지원이 시급합니다.

 

 

한 동안 3명의 IOC위원 보유국이었던 한국은 어느새 국제스포츠외교 변방이 되어가는 것은 아닌가 우려가 앞서는 마음입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시금석이 될 2032년 올림픽을 가져 오려면 스포츠외교력이 절실한데 구체적이고 지속 가능한 스포츠외교 미래의 전략적 로드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아래 글은 위와 같은 취지로 간략하게 추려서 조선일보에 기고한 2018년 10월8일 자 발언대 글 내용입니다:

 

 

[조선일보 오피니언/발언대] 1명뿐인 한국

 

IOC 위원 더 많아야 한다

조선일보

 

  •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입력 2018.10.08 03:09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지난달 18일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서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 유치 계획이 공개되었다. 서울과 평양이 2032년 하계올림픽을 유치하면 대한민국은 하계올림픽을 두 번 이상 개최하는 여섯 번째 나라가 된다.

     

    필자가 지난 36년 동안 2008 베이징올림픽 IOC 평가위원, 평창올림픽 3연속 유치위 활동 등 스포츠 외교 현장을 뛰면서 얻은 결론은 올림픽 유치를 위해선 자국(自國) IOC 위원의 역할이 50% 이상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유치 후보국 IOC 위원은 유치와 관련한 제재나 윤리 규정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하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도 이건희 당시 IOC 위원의 위상과 개인적 호소력, 흡인력 등이 투표권자인 IOC 위원들의 마음을 정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중국은 2000년 올림픽 유치에 실패한 뒤 자국 IOC 위원 수(당시 개인 자격 1명)의 열세가 패인 중 하나라고 보고 이후 스포츠 외교에 전력해 IOC 위원을 한 명 더 확보한 뒤 2008년 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 중국은 1명을 더해 현재 IOC 위원이 세 명이 활동 중이다.

     

    토마스 바흐 위원장 취임 후에도 IOC 내부는 여전히 보수적이고 낯가림이 심하다. IOC의 높은 관문을 통과하려면 10년 정도 국제 스포츠 무대에 얼굴을 알리고, 올림픽 운동에 어떤 방식으로든 이바지해야 한다.

     


    2032년 올림픽 남북 공동 유치의 명분이 아무리 훌륭해도 결국 필요한 것은 IOC 위원의 스포츠 외교력이다. 그런데 한국은 현재 유승민 선수 자격 IOC 위원 한 명뿐이다. 이런 점을 인식해 한국 정부는 최근 IOC에 이건희 전 IOC 위원 후임으로 한 인사를 추천했다. 하지만 스위스까지 날아 가 바흐 위원장까지 면담하고 온 것으로 알려진 이 인사는 안타깝게도 후보 명단에서 빠졌다.

     

    IOC 위원은 추천만으로 주어지는 자리가 아니다. 올림픽 운동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스포츠 외교를 펼칠 수 있는 후보를 원하는 IOC의 코드에 맞아야 한다. 남북한이 2032년 올림픽을 유치하려면 이런 점을 감안한 전략적 스포츠 외교 실행안을 만들어야 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7/2018100702201.html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