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2018시리즈 2017. 3. 8. 15:13

[평창2018 향후 최종현장지휘단계 종합운영모드 Review요약 및 집중탐구 (CCC MOC Update )]

 

*순서:

A. IOC 총괄 마스터 스케줄 구조 일람표 일괄 및 구성요소 재 검토 Review

B. CCC에 관여되는 구성단위 (Who is involved in CCC?)

C. CCC의 정의 (What is CCC?)

D. 평창2018에게 FCC (Functional Coordination Center) ?

E. FCC관련 단계 별 숙지사항 및 처리사안 Check-List

F. FCC 구조도표

G. FCC의 임무와 역할

H. 평창2018에 영향을 끼치는 외곽 파트너들 (External Partners) 과의 관계 Check-List

I. 외곽 파트너들-기타 (External Partners-Other) (외관파트너들의 다른 사례들/Other examples of external partners)

J. 외곽 파트너들-정부 주도기관들 (External Partners----Government-led)

K. CCC의 위치 해당단위 (Where does CCC happens?)

L. CCC의 역할과 임무완수체계 (소통+조정=80%//명령+통제=20%)

M. 이중보고장치 체계확립 (Dual Reporting)

N. 결정권한부여 (Empowerment)

O. 결정권한 구조

P. CCC성공요인들 (CCC Success Factors) 12 가지

Q. CCC의 대회 시 개념 (CCC Games-time Concept)

R. 클라이언트 (Clients)-CCC통합 (CCC Integration)

S. 평창2018을 위한 클라이언트 관련 Check-List (Clients? For PyeongChang2018)

T. MOC의 역할 (MOC Role)

U. 서비스수준 매트릭스 (Service Level Matrix)

V. 평창2018 테스트이벤트 (26) 종합스케줄 도표

W. 평창2018 IOC C3 총괄요약 종합 재정리 Update

 

*내용:

 

201729일은 평창2018 동계올림픽 개회식까지 G-1(D-365)카운트다운 분기점 이정표 겸 전환점(Milestone & Turning Point)이었습니다.

 

26개 테스트 이벤트가 종료되는 시점인 4월부터 평창2018은 대회현장 바다 속으로 뛰어들게 되는 대장정의 CCC(Communications-Command-Control)로드맵(Roadmap)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게 됩니다.

 

MOC개소식 및 업무가동에 이어 이제부터는 평창2018 모든 FAs들이 해당Venues Sites 중심으로 제 기능을 최종 점검(Check & Review)---자체작동(In-House Operations)---리허설(Rehearsal)---시뮬레이션(Simulation)---현장진입(Bump-In)---현장입주(Move-in)” 등의 일련의 숨막히는 현장적응과정 등을 통해 각자 그리고 통합적으로(respectively and jointly) 미세조정(Fine-tuning) 및 정비(Overhaul)절차를 다져가면서 대망의 201829일 개회식 D-Day를 기다리게 될 것입니다.

 

POCOG2011년 하순 POCOG조직이래로 6년에 육박하는 준비 기간 동안 IOC Coordination Commission-Project Reviews-Technical Review는 물론 IOC/IFs가 추천하고 파견한 각 분야 전문가/자문 가들로부터 해당분야지식/경험전수(Knowledge/Experiences Transfer) Side meetings, Focus Group meetings, Conferences calls, Workshops 등을 통해 지식습득과 정보교환 및 경험축적으로 대회조직운영에 필요한 기능과 기술과 내공 등을 갈고 닦고 쌓아오며 먼 길을 달려 왔습니다.

 

이제 오는 313일부터는 평창 알펜시아에서 개최되는 제8IOC조정위원회 그리고 315일부터는 IOC집행위원회에서의 프레젠테이션 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평창2018만의 맛과 색깔을 내고 입혀 Thomas Bach IOC위원장이 20147월 말 평창 처음 방문 시 당부했던 “Do not copy the previous Games.”의 의미를 되새기고 염두에 두며 평창-Specific”한 조직운영 노하우와 조리법(Recipe)을 전 세계에 모범적으로 실행해 보여야겠습니다.

 

 

1. IOC 총괄 마스터 스케줄 구조 일람표 일괄 및 구성요소 재 검토 Review

 

1)   Products & Experience (업무성과와 경험) 6가지 요소

(1) Sport/스포츠(SPT)

(2) Ceremonies/의식행사(CER)

(3) City Activities & Live Sites/개최도시 행사활동 및 현장활기 전파구역 (LIV)

(4) Culture/문화(CUL)

(5) Education/교육(EDU)

(6) Olympic Torch Relay/올림픽 성화(OTR)

 

2)   Client Services (클라이언트 서비스)

(1) Broadcast Services/방송서비스(BRS)

(2) IF Services(included under sport)/각 종목 별로 포함된 국제연맹 관련 서비스(INS)

(3) Marketing Partners Services/마케팅 파트너 서비스(MPS)

(4) NOC services/각국올림픽위원회 관련 서비스(NCS)

(5) Olympic Family Services(including Dignitary Programme, Protocol)/고위 인사 프로그램 및 의전 포함 올림픽 가족 서비스(OFS, DIP, PRT)

(6) People Management/인력관리(PEM)

(7) Press Operations/취재기자 운영(PRS)

(8) Spectator Experience/관중경험(SPX)

 

3)   Venues & Infrastructure (경기장 및 제반 시설)

(1) Energy/에너지 (NGR)

(2) Venue Management/경기장 관리(VEM)

(3) Venues & Infrastructure (including Venue Development & General Infrastructure)/베뉴 개발과 일반 인프라 포함한 경기장 및 인프라(VNI, VED, INF)

(4) Villages Management/올림픽선수촌 관리(VIL)

 

4)   Games Services (대회관련 제반 서비스)

(1) Accommodation/숙박(ACM)

(2) Accreditation/등록(ACR)

(3) Arrivals & Departures/출도착(AND)

(4) Cleaning & Waste/청소 및 쓰레기처리(CNW)

(5) Doping Control/약물통제(DOP)

(6) Event Services/이벤트 서비스(EVS)

(7) Food & Beverage/식 음료(FNB)

(8) Language Services/언어서비스(LAN)

(9) Logistics/물자(LOG)

(10) Medical Services/의료서비스(MED)

(11) Security/안전(SEC)

(12) Signature/표식 및 장식(SIG)

(13) Technology/기술(TEC)

(14) Transport/수송(TRA)

 

5)   Governance (지배구조)

(1) City Operations/개최도시운영(CTY)

(2) Command, Control & Communications/지휘, 통제, 소통(CCC)

(3) Finance/요율표 포함한 재정 (incl. Rate Card)(FIN, RTC)

(4) Government Relations/정부관계(GOV)

(5) Information & Knowledge Management/정보 및 지식관리(IKM)

(6) Legacy/유산(LGC)

(7) Operational Readiness/운영준비태세(OPR)

(8) Planning & Coordination/기획 및 조정(PNC)

(9) Procurement/조달(PRC)

(10) Risk Management/위기관리(RSK)

(11) Sustainability/지속가능 성(SUS)

(12) Test Events Management/테스트 이벤트 관리(TEM)

 

6)   Commercial & Engagement (상업적 측면 및 참여)

(1) Brand, Identity & Look of the Games/브랜드, 식별 및 대회표식(BIL)

(2) Brand Protection/브랜드 보호(BRP)

(3) Business Development/사업 개발(BUS)

(4) Communications(including Digital Media, Publications)/디지털 미디어와 자료발간 포함한 소통(COM, DIG, PUB)

(5) Licensing/상품화 권리(LIC)

(6) Ticketing/입장권(TKT)

 

*Clients(클라이언트):

 

(1)Athletes & NOCs/선수 및 각국올림픽위원회

(2)IFs/국제경기연맹들

(3)Marketing Partners/국내외 마케팅 파트너(MPT, TOP)

(4)Olympic Family/올림픽가족 (OF)

(5)Press/취재기자단 (PRE)

(6)Rights Holding Broadcasters/방영권보유 방송사들 (RHB)

(7)Spectators/관중 (SPE)

(8) Workforce/인력 (WKF)

 

 

*Organizations(조직 및 관련 단체):

 

(1)IOC/국제올림픽위원회

(2)OBS /올림픽방송 서비스(Olympic Broadcasting Services)

 

 

 

 

 

2. CCC에 관여되는 구성단위(Who is involved in CCC?)

 

1)   각 경기장 팀/Venue Teams

2)   각 해당부서/FAs-FCC(Functional Coordination Center)

3)   핵심운영센터(MOC: Main Operations Center)

4)   POCOG지휘부/POCOG Executives

5)   IOC/IPC

6)   외부유관기관들(External partners)

7)   클라이언트(Clients)

 

3. CCC의 정의 (What is CCC?)

 

1)   대회 시 CCC의 구조방식 (CCC Framework)이 수반하는 요소들:

(1) 통합 대회 시 업무구조 (the Integrated Games-time Structure)

(2) 대회 시 보고체계 (Games-time Reporting)

(3) 권한 정식양도 및 권한발휘 제한, 특히 EGMsFCC매니저들에게 권한 부여(formal Delegations and limits of Authority, particularly for Event General managers<EGMs> and FCC managers

(4) 대회 시, 실시간 결정방식 협의체 운영 및 관련 과정 정착 (Games-time, Real-time Decision-making Forums and related processes)

(5) 소통방식 (Communications/평상 시 및 사고발생 시/Routine and Incident)

(6) 운영체계 소통 도구 및 제반 과정 +조직적 측면의 인수인계로 힘 실어주기 (Operational Communications Tools and Processes +the Organizational Transition to get there)

 

  

 

4. 평창2018에게 FCC(Functional Coordination Center)?

 

가. FCC는 대회기간 중 각 FA의 운영관련 베이스캠프(Operational Base)

나.  FA를 위한 조정, 보고체계 및 결정단계의 중심단위(Focal point of Coordination, reporting and decision-making for the respective FA)

 

FCC 임무완수 과제 Check-List 12가지:

1)   FAs FCC의 필요성은? (Which FAs need FCC?)

2)   FCC별 소관위치배정은? (Where should each FCC located?)

3)   FCC별 전개체계는? (How should each FCC structured?)

4)   FCC내부 및 상부 보고계통 및 체계는? (What are the reporting lines, within and beyond the FCC?)

5)   FCC의 결정권한 수준은? (What are the levels of authority <decision-making> of the FCC?)

6)   현안문제 결정 상향체계 의전방식(현안 별 결정권한 직위 및 결정권자)? (What are the issue escalation protocols <Which issues are decided where and by whom>?)

7)   FCCs의 소통대상과 방법 및 시기는? (With whom do the FCCs communicate, how and when?)

8)   EGMsFCCs 간의 관계정립 범위 정도는?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GMs and FCCs?)

9)   FCCs와 외부기관들과의 관계정립 범위 정도는?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CCs and External Partners?)

10) FCCs MOC간의 관계정립 범위 정도는?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CCs and the MOC?)

11) FCCs가 필요로 하는 협의/회의 수준의 범위는? (What forums/meetings do FCCs need?)

12) CCC를 위하여 FCCs가 필요로 하는 도구와 과정들의 범주는? (What tools and processes do FCCs need for CCC?)

 

5. FCC관련 단계 별 숙지사항 및 처리사안 Check-List

 

1)   FCC의 배치위치? (Where is the FCC located?)

2)   FCC의 운영일수와 시간은? (What are its dates and hours of operation?)

3)   FCC의 보고계통 방법, 시기, 건 및 보고 대상은? ((How/when/what does it need to report? To whom?)

4)   베뉴에서 당면 예상 최상위 5가지 결정 대상사안들은<만일 귀하의 FA가 베뉴 팀의 일부분일 경우>? (What are the top 5 decisions you anticipate facing in the venue <If your FA is part of the venue team>?)

5)   FA 내에서 부닥칠 예상 최상위 5가지 결정대상 사안들은? (What are the top 5 decisions you anticipate facing within the FA?)

6)   기타 다른 FAs들과 부닥칠 예상 최상위 5가지 대상사안들은? (What are the top 5 decisions you anticipate facing with other FAs?)

7)   외부 파트너들과 부닥칠 예상 최상위 5가지 결정대상사안들은? (What are the top 5 decisions you anticipate facing with other FAs?)

8)   MOC로 상향 보고라인에서의 예상 최상위 5가지 현안대상 사안들은? (What are the top 5 decisions you anticipate escalating to the MOC?)

 

 

6. FCC 구조도표

 

1)   MOC를 정점으로 베뉴 별 총괄매니저들이 중간 책임자 역할이고 하부 단위로 각 베뉴 별 각 FA 매니저(; 수송)가 포진하여 VGM에게 일차보고 체계(primary reporting lone) 담당이며 각 베뉴 별 각 FA는 또한 해당 FCC(; 수송)에도 추가 보고체계(secondary reporting line)를 유지함

 

 

7. FCC의 임무와 역할

 

1)   FCC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함((Functional Coordination Centers are:):

(1) 대회 시 각 FA별 운영본부 (Games-time operational headquarters of each FA>)

 

(2) FA별 조정, 보고 및 결정의 초점 (Focal point of coordination, reporting, decision-making for the respective FA)

2)   FCC매니저가 리드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음(Led by the FCC Manager whose role includes):

(1) FA별 효율적인 대회전반에 걸친 서비스 책임 (Responsibility for the efficient Games-wide service of the FA)

(2) FCC의 확실한 위치확보 및 유지 (Maintaining a distinct FCC location)

(3) 중앙통제 또는 세분화된 베뉴 별로든 간에 FA팀의 전체업무 면모 관리 (Managing all aspects of the FA team, whether deployed centrally or into venues)

(4) 다른 FCCs, EGMs 또는 필요 시 MOC와 협업함으로 해당 FA연관 대회전반 현안들 해결 (Resolving all Games issues related to that FA, working with other FCCs, EGMs or the MOC as necessary)

(5) 고 단위 사안, 정책 현안 또는 복합적 베뉴/FAs에 영향을 줄 잠재성 있는 상향지향 현안들 파악 및 구별 (Escalating issues which involve high stakes, policy issues, or have the potential to impact multiple veunes/FAs)

 

 

 

8. 평창2018에 영향을 끼치는 외곽 파트너들(External Partners)과의 관계 Check-List:

 

1)   어떠한 외곽 파트너들이 고려대상으로 필요한지? (Which external partners do we need to consider?)

 

2)   이들이 대회에 관여할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은? (What are the different ways they could be involved in the Games?)

3)   이들의 소통대상, 방법 및 시기는? (With whom do they communicate, how and when?)

4)   이들이 CCC 전체구조에 적합하도록 활용할 방법은? (How do they fit into the overall CCC structure?)

5)   이들의 보고계통은? (What are their reporting lines?)

6)   이들의 권한수준(결정권한) 어떤 것인가? (What are their levels of authority<decision-making>?)

7)   이들의 현안들에 대한 상향지향관련 의전은? (What are their issue escalation protocols? /어떤 현안들이 어디에서 그리고 누구에 의해서 결정되는지/which issues are decided where and by whom?)

8)   이들과 MOC EGMs FCCs와의 상관관계는? (What i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C, EGMs and FCCs?)

9)   이들이 관여하는 협의체/회의는 어떤 것인가? (What forums/meetings are they involved in?)

 

 

9. 외곽 파트너들-기타(External Partners-Other) (외관파트너들의 다른 사례들/Other examples of external partners)

 

1)   베뉴 소유주들 (Venue Owners)

2)   공동개최도시들 (Co-Host Cities)

3)   공공시설 공급자들 (: 전력) (Utility Suppliers<e.g.: Power>)

4)   계약직들 <: 청소 및 쓰레기처리>(Contractors<e.g.: Cleaning & Waste>)

5)   긴급서비스 제공자들(: 앰뷸런스, 응급치료)(Emergency Services Providers<e.g.: Ambulance, First Aid>)

6)   공항당국 (Airport Authority)

7)   세관통관 및 출입국 관계당국 (Customs and Immigration Authority)

8)   관광공사 등 (Tourism Authority)

9)   인허가 관련 관계당국 (Authorities related to Permits and Licences)

10) 세계 반 도핑기구 (WADA)

 

 

10.               외곽 파트너들-정부 주도기관들 (External Partners----Government-led)

 

1)   정부주도 책임소재 전형적인 세 군데 핵심 분야들 (Three Key Areas Typically of Lead Government Responsibility):

(1) 안전<법 집행>(Security<Law Enforcement>)

(2) 수송 교통 (Transport)

(3) 도시 전반 운영 (City Operations)

 

2)   관련된 특징들 (Characterized by):

(1) 법규/법령에 의한 의무사항 (Statutory Obligations)

(2) 주요 예산함축 사안들 (Major Budget Implications)

 

3)   대회 시 지휘명령 센터들은 일반적으로 MOC와 별개임 (Generally with Games-time Command Centers Separate from MOC):

(1) 의미심장한 인프라<기존>(Due to significant Infrastructure<usually existing>)

(2) [안전상] 정보의 민감성을 이유로 ([for Security] Due to Sensitivity of Information)

 

11.               CCC의 위치 해당단위 (Where does CCC happens?)

 

1)   경기장(Venues)

2)   제반 시설(Facilities)

3)   출입국 공항(Airports)

4)   개최도시/베뉴도시(City)-소속 지역(/Province)-국가(Country)

 

 

12.            CCC의 역할과 임무완수체계 (소통+조정=80%//명령+통제=20%)

 

1)   소통(Communications)

(1) 목표성취를 위한 해당정보 공유 (Sharing Information to Achieve a Goal)

2)   조정(Coordination)

(1) 복잡한 사안에 대한 업무배분 수행을 위한 권한위임-목표달성을 위한 효율적 업무추진 (Delegated Authority to Organize Different Parts of Something Complex so that they work effectively to Achieve a Goal)

3)   명령(Command)

(1) 권한/지시사항 지휘권 행사-목표달성을 위한 지식에 근거 (Exercise of Authority/Instructions, Based upon Knowledge, to Achieve a Goal)

 

4)   통제(Control)

(1) 목표 또는 목적 완수 확인 (Confirming that the Objective or Goal of Command is Accomplished)

 

 

13. 이중보고장치 체계확립(Dual Reporting)

 

      1) 현장 이슈 발생 시 해당 베뉴(EGM)에 보고한 후 이어서 FCC 2차 보고 실시하는 보고채널 이중 장치확립으로써 효과적인 소통과 이해를 통한 이슈해결 재확인 방식으로 만전을 기하고자 하는 취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사료됨

        (1) 각 베뉴 팀의 FA매니저가 해당 EGM(Event General Manager)에게 직접보고하며, 이슈 발생 시 2차적으로 해당 FCC에 보고함

        (2) 이로써 베뉴 팀들과 해당 FCCs들 간에 정보공유(information-sharing)는 물론 쌍방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체계가 정립됨

 

 

 

 

13.            결정권한부여(Empowerment)

 

1)   결정권한부여란 운영 팀들에게 가장 낮은 단계 적정수준에서 결정권한을 위임하는 것임 (Empowerment=Authorizing Operational Teams to Male Decisions at Lowest Appropriate Level)

 

2)   결정권의 상위이동 대상 이슈의 경우는 다음에 한함(Escalating Issues Only When):

(1) 경기지연 등과 같은 사례처럼 통합대응이 요구되는 중요한 운영상의 이슈발생 시 (A significant Operational Issue Requires an Integrated Response <e.g. Postponement of Competition>)

(2) 수송스케줄 조정과 같은 자원공유 이슈발생 시 (There is a Resource Sharing Issue<e.g.: Adjustment of Transport Schedules)

(3) 경기결과 시스템 관련 광범위한 시스템조정과 같은 복수의 경기장에 여향이 미치는 결정이 요구될 경우 중대한 잠재적 재정상의 영향이 미칠 경우 (The Decision will Affect Multiple Venues <e.g.: System-Wide Problem with Results System>)

(4) 광범위한 정책차원의

 이슈 또는 특별한 민감성이 함유된 이슈 발발 시 (There is Broader Policy Issue or Special Sensitivity Involved)

 

 

14.            결정권한구조

 

1)   대회기간 중 결정사안 대다수는 아래 도표와 같이 운영 팀들의 직접 소관 하에 결정되어 처리됨

 

 

 

 

15.            CCC성공요인들 (CCC Success Factors)12가지

 

1)   대회 시 조직체계 및 진화과정을 반영한 업무현황 조기 정의 (Early Definition of Games-time Structure and Staged Evolution to Adapt it)

2)   C3개념에 대한 지휘부의 양도 재량권 인정 정도 (Executive Endorsement of C3 Concept)

3)   핵심 원칙 및 보고체계 의전에 대한 광범위한 약속이행 (Widespread Commitment to Key Principles and Reporting Protocols)

 

4)   대회 시 중앙통제적이기 보다는 각 경기장 국지적/분권적으로 이루어질 결정사안들에 대하여 해당인력에게 양도되는 결정권한위임 (Empowerment of Workforce, Enabling the Vast Majority of Games-time Decisions to be Made Locally, rather than Centrally)

5)  외곽파트너 및 해당기관당국 등 연관된 모든 개체단위들의 통합 (Integration of all Involved Entities, including External Partners and Authorities)

6)   지휘부 간부 및 외곽 파트너를 포함한 효과적인 CCC 테스트 및 연습 (Effective CCC Testing and Exercising, including Executives and External partners)

 

7)   체계적으로 개발되고 예행연습이 되어진 운영계획, 정책, 절차 및 비상계획 등 (Well-Developed and Rehearsed Operating Plans, Policies, Procedures and Contingency Plans)

8)   일상적인 것과 표준에서 벗어난 사건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이 출중한 숙련된 인력 (A Well-Trained Workforce, Capable of Reactig to Routine and Non-Standard incidents)

9)   파견 및 옵저버 프로그램 활용하여 경험축적 및 직원 훈련 (Use of Secondment and Observers Programmes to Gain Experiences and Train Staff)

10) 탄탄한 내적 관계형성<FAs. EGMs, 및 지휘부 간부>(Strong Internal Relationship <FAs, EGMs, Executives>)

11) 핵심이해당사자들과의 탄탄한 관계정립 및 특히 각 정부 파트너들과 같은 핵심이해당사자들과의 상호교류/소통에 대한 철저한 이해도 확립 (Strong Relationship with Key Stakeholders and a Strong understanding of How Key Stakeholders, particularly Different Government Partners, Interact with Each Other)

12) 운영 현실을 실감하고 신뢰도 구축을 도모하기 위한 MOC 조기설립 (Establish the Main Operations Center early to Create an Operational Reality and Build Confidence)

 

 

16.            CCC의 대회 시 개념 (CCC Games-time Concept)

 

1)   도입부 (Introduction)

(1) 지휘부간부 용 요약 (Executive Summary)

(2) 목적 (Purpose)

(3) 정의 (Definition)

(4) 문맥 (Context)

(5) 핵심성공요인 (Key Success Factors)

(6) 도전과제 (Challengers)

(7) CCC 해당부서 (CCC Functional Area)

(8) 핵심연관 요소 (Key Links)

(9) 가설 (Assumptions)

2)   원칙(Principles)

(1) 권한부여 및 책임소재 (Empowerment and Accountability)

(2) 이중 보고체계 (Dual Reporting)

3)   핵심활동 해당대상과 요소 (Key Players and Elements)

(1) IOC/IPC

(2) MOC (Main Operations Center)

(3) 경기장 관리 (Venue management)

(4) FCC (Functional Coordination Centers)

(5) 클라이언트 (Clients)

(6) 파트너 조정센터 (Partners Coordination Centers)

4)   대회 시 CCC (Games-time CCC)

(1) 구조 (Structure)

(2) 사건사고 및 위기 (Incidents and Crises)

(3) 정보흐름 (Information Flow)

(4) 대회이전단계에서 갈아타기 (Transition from Pre-Games)

5)   로드 맵 (Roadmap)

 

 

17.           클라이언트(Clients)-CCC통합 (CCC Integration)

 

1)   대회 각 클라이언트는 평창2018 클라이언트 소유주 FA가 있어서 그들의 클라이언트와의 연계, 서비스 전달 관리감독, 이슈해결 조력, 클라이언트들, 평창2018 서비스 제공자 FAs, 및 필요 시 IOC/IPC 등과의 업무연계를 담당해 줌(Each Games Client has a PyeongChang2018 Client-Owner FA who Liaises with their Clients, Monitors Delivery of Services, and Facilitate Issue resolution, Working in liaison with Clients, PyeongChang2018 service Provider FAs, and the IOC/IPC if necessary)

2)   대체로 클라이언트 소유주 FA는 결정권한 역할이 없음 (Typically the Client-Owner FA does not have a Decision-making Role)

3)   다양한 클라이언트 회의가 대회 시 개최되며 이는 이슈들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조직위원회관계자들에게 이슈들의 상위적 단계 이관과 궁극적 해결과 소통을 용이하게 해줌-클라이언트 리더들은 관련 포럼에 참가할 수 있음 <: 각국 선수단장 회의 등>(Various Client Meetings take place at Games-time to Facilitate the Escalation of Issues from Client to Organizers, and Ultimate Resolution and Communication. Client Leaders may Participate in, of if not Lead, the relevant Forums, <e.g. Chefs de Mission Meeting>)

4)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MOC에 직접연결고리를 가질 수 있으며 몇몇 경우 클라이언트 소유주 FAFCC의 사실상의 우두머리가 될 수 있음 (Client-Owner FAs will have a Direct Link to the MOC. In some cases, the Client-Owner FAs may in fact be the Head of the FCC.)

5)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는 클라이언트 경험에 관하여 연락을 취하기 위하여 IOC/IPC에 해당상대와 직접 연결권리를 가질 수 있음 (Client-Owner FAs will have a Direct Link with their Counterparts a the IOC/IPC to liaise about Client Experience.)

 

 

18.           평창2018을 위한 클라이언트 관련 Check-List (Clients? For PyeongChang2018)

 

1)   대회관련 대상클라이언트는? (Which Clients are Involved in the Games?)

2)   조직구조 및 포럼이란 견지에서 대회 시 그들의 조직구성은? (How are they organized at Games-time in terms of Structures and Forums?)

3)   대회 시 클라이언트들의 위치는? (Where are they located at Games-time?)

4)   그들은 어떠한 권한을 행사하나? (What authority do they have?)

5)   그들은 조직위원회와 어떻게 소통/교류해야 하나? (How should they interact with the OCOG?)

6)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는 어떤 방법으로 해당 클라이언트 그룹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모니터 할 것인가? (How will Client-owner FAs Monitor Services Provided to their Client Groups?)

7)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는 어떤 권한을 가지야 하나? (What Authority should Client-Owner FAs have?)

8)   현안 이슈가 상향 과정으로 처리되는 것은 무엇일까? (What will be the Issue Escalation Process?)

9)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는 언제 IOC/IPC와 연계되어야 하나? (When should the Client-Owner FA Involve the IOC/IPC?)

10)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 EGMs <FCCs, MOC>사이에 소통은 무엇이며/어떻게/언제 되어야 하나? (What should be the communication between Client-Owner FAs and EGMs, FCCs, MOC? How When?)

11) 클라이언트 소유주 FAs는 어떤 포럼/회의가 필요하나? (What Forums/Meetings do Client-Owner FAs Need?)

 

 

 

19.            MOC의 역할(MOC Role)

 

1)   다음사항에 대하여 중앙집권적 시스템을 활용 대회간부들이 대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임(Provide a Centralized System to Allow the Games Executive to Manage the Games Effectively in terms of):

(1) 소통(Communication)

(2) 조정(Coordination)

(3) 보고계통(Reporting)

(4) 결정권한(Decision-making)

2)   MOCEGMs FCC매니저들의 1차 접촉 점 임이며 MOC는 요구 시에 국한하여 해당 팀들에게 지시사항을 제공함(The Primary Point of Contact for EGMs and FCC Managers. The MOC Provides Direction to those Teams Only as Required)

3)   MOC의 구체적인 역할과 구성은 다음사항 외에 조직위원회가 채택한 CCC원칙<결정권한 위임, 이중 보고체계>에 달려있음(The Specific Role and Composition of the MOC depends on the CCC Principles(Empowerment, Dual Reporting) Adopted by the OCOG, in addition to):

(1) 대회 시 구조(Games-tie Structure)

(2) 운영 환경 및 문화(Operating Environment and Culture

 

 

 

20.            서비스 수준 매트릭스 (Service Level Matrix)

 

 

 

21.            평창2018 테스트이벤트(26) 종합스케줄 도표

 

 

 

22.            평창2018 IOC C3 총괄요약 종합 재정리 Update

 

POCOG 1년 도 채 남지 않은 현 시점에서 대회기간 중 실제 지휘통제능력 실행을 위하여 MOC를 거점으로 하여 전쟁 발발을 대비하여 시행되는 군대에서의 CPX(Command Post Exercise)처럼 대회 실시간(real-time)지휘통제 조정을 테스트이벤트 기간을 통하여 계속 점검 및 Test해 보고 숙련시키는 현장 상황조정/지휘 연습장소로도 활용하여야 하겠습니다.

이제 지체할 시간이 없습니다. (There is no time to lose.)

 

1)   C3 개요 및 지배구조(Governance) 진화과정:

 

(1) IOC가 제시한 C3 Concept가 당초 “Communications-Coordination-Command/Control”에서 다시 “Communications-Command-Control”로 재 조정된 바 있음

 

(2) C3개념에서 Coordination (조정)요소를 건너뛴 IOC의 실무판단이 이전 개념 보다 설득력이 덜한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지난 2015 1027일 오전 대한항공 통제센터를 방문하여 유익한 현장 탐방 및 실제체험학습을 통해 Coordination개념이 간과될 수 없는 필수 불가결한 항목임을 재 확인한 셈임.

 

(3) C3의 정의가  올림픽 계획, 대회기간 등 전체 기간에 걸쳐 통합적 운영과 즉각적인 현장 의사결정을 위한 조직구조 및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통칭하는 것이며 아울러 조직위원회 및 모든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간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함

 

2)   주요변화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프로젝트 중심(Project Focused)에서 운영 중심(Operations Focused)’,

(2) ‘FA중심(FA Oriented)에서 베뉴 중심(Venue Oriented)’으로

(3) 초기 기획단계’(Planning Stage)에서 지금부터 전개될 운영 및 전달 베뉴화 단계’(Operational, Delivery Venuization Stage)로의 중심축 좌표이동이라고 판단됨

3)   CCC의 목적은 각각 즉각적인 이슈 해결’(To Resolve Issues Immediately)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체계확립을 통한 의사결정’(To Apply Effective Reporting System for Communications and Decision-Making)을 성취하기 위한 다년간에 걸친 역대 OCOGs들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올림픽성공개최를 목표로 가장 바람직한 대회조직을 지향하는 운영중심 거버넌스 모델(Operations-Focused Governance model)제시라고 사료됨

 

4)   C3의 단계 별 준비체계 지배구조 진화과정을 인간의 생애주기(Human Life Cycle)와 연계하여 대회준비 변화단계에 접목시켜 예시하여 대비한 다음의 지배구조 구조진화’(Evolution of Governance Structure)도표가 실감나고 적절하게 보여짐

(1) 유전자 발진 기간(Patrimony/DNA)----올림픽유치 심사숙고 및 숙성기간(Reflexion /Vision)

(2) 임신(Conception) 및 태아(Embryo)생성기간---올림픽 신청도시 및 후보도시 기간(Applicant City and Candidate City)그리고 개최도시 선출(Election)및 개최도시 협약서 서명(HCC)

(3) 유년기(Childhood)---대회기초종합계획수립활동 기간(Games Foundation Planning)

(4) 청소년기/사춘기(Adolescence)---운영계획 수립 기간(Operational Planning)

(5) 성인기(Adulthood)---운영준비태세확립 계획수립기간(Operational Readiness Planning) 및 올림픽 조직 현장운영(Olympic Games Period)

(6) 노년기 진입시기(Elderliness)---대회조직위원회 해산/청산(OCOG Dissolution)

(7) 유산 남기기(Heritage)---유산 관리(Legacy Management)

 

 

5)   도표에서처럼 POCOG G-28개월 째 당시(2015 10 9) 운영계획 본격적 수립 마무리 단계에 진입 단계였음

 

(1) MOC(Main Operations Center/주 운영통제 센터)의 역할:

 

A.  MOC는 대회 기간 중 현장에서의 조직운영을 통할하여 일일 현장전 개 흐름을 순조롭게 유지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접목해 내는 중추적 업무를 맡게 되는 최전방지휘소라고 할 수 있음

 

 

B.  대회기간 중 POCOG 연계 대회 MOC 핵심 운영 주체들 역할 요약 및 연계도표:

 

 

C.  POCOG:

(1) 지휘부(Executives)의 역할에 대하여:

. 일일 또는 특수사안 별로 소집되는 조정위원회 회의에서 IOC/IPC협의를 통한 큼직한 대회이슈 해결방안 도출

. 정부핵심당국과 소통을 통해 심각한 이슈나 국가안보나 국격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이슈들이 생길 경우 해결점 마련

 

(2) 주 운영통제센터(MOC)의 역할에 대하여:

. 일일 보고서 및 주요 이슈 취합 및 정리(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 지휘부 보좌 및 각종 자료 제공(To Support POCOG Executives0

. 주요 소통 및 정보 수집 중심축(Communications) 기능 수행(To Act as the Communications/Information Hub)

라. 중대 사안 발생 시 의사결정(To Make Decisions)

 

(3) 베뉴 전반 <운영>(Venue <Operations>)역할에 대하여:

가. 베뉴(Veune)는 경기장(Competition Venues) 및 비 경기장 베뉴(Non-Competition Venues: 올림픽 선수촌, 미디어 촌, MPC, IBC, Medal Plaza )를 총칭하는데 대회 가간 중 일일 필수 핵심기본 운영단위가 됨

나. FA및 외부기관 파견 자들로 구성된 각각의 다양한 베뉴 팀을 운영함

다. 행사 총괄 매니저(EGM: Event General Manager)가 운영총괄 함

 

 

(4)  FA 조정센터(FCC: Functional Coordination Centre)?

 

가.  FCC는 대회기간 중 각 FA의 운영 전초기지/베이스 캠프 격이라고 할 수 있음(Operational base of each FA during Games-time: / 수송 FCC)

나.  FCC는 각각의 현장 FA를 위한 조정, 보고 및 의사결정을 도모하는 초점 역할을 담당함(Focal point of coordination, reporting and decision-making for the respective FA)

 

 

D.   IOC가 제시하는 포괄적 베뉴 팀 운영조직도(IOC Generic)

 

 

E.  평창2018 C3 기본원칙(Principles)에 대하여

(1) 결정 권한부여(Empowerment)

. 대회 각 분야 별 현장에서 신속한 이슈해결도모를 위하여   결정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을 전결규정으로 규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됨

. 또한 각 베뉴/FA수준에서 책임감(a sense of accountability)과 주인의식(a sense of ownership)을 고취시켜줌으로써,

. 전반적인 현장 발생 이슈들이 운영차원에서 해결/완수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성공적 대회를 기하기 위한 조치라고 판단됨

 

 

<< 평창2018 C3 기본원칙 중 결정권권한부여 범위표시도표 >>

 

 

 

        (2) 이중보고장치 체계확립(Dual Reporting)

         -현장 이슈 발생 시 해당 베뉴(EGM)에 보고한 후 이어서 FCC 2차 보고 실시하는 보고채널 이중 장치확립으로써 효과적인 소통과 이해를 통한 이슈해결 재확인 방식으로 만전을 기하고자 하는 취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사료됨

        .  각 베뉴 팀의 FA매니저가 해당 EGM(Event General Manager)에게 직접보고하며, 이슈 발생 시 2차적으로 해당 FCC에 보고함

        . 이로써 베뉴 팀들과 해당 FCCs들 간에 정보공유(information-sharing)는 물론 쌍방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체계가 정립됨

 

 

 

 

<< 평창2018 C3기본원칙 중 이중보고장치 체계확립 도표 >>

 

 

 

*References:

-IOC Workshop 종합자료 발취 및 정리

 

Posted by 윤강로